공공언어란?

한국인이라면 한국어 문장이 좀 불완전하고 너저분하더라도 어느 정도 뜻을 알아챌 수 있다. 하지만 사용하는 단어가 어려우면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기 힘들어진다. 주된 용어에는 문장의 뜻을 이루는 핵심 정보가 담겨 있으므로 어떤 용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문장의 쉽고 어려움이 달라진다. 이런 점에서 공공언어에 등장하는 용어의 생산자들이 누구이며, 어떤 책임을 느껴야 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공공 분야에서는 행정용어만 사용하지는 않는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국민 생활의 거의 모든 영역을 관장하고 있으므로,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보건, 복지, 산업, 과학기술, 정보통신, 교통과 부동산 등 국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전 분야의 용어가 공공언어 속으로 들어온다. 사회가 밀접해지고 정보통신이 발달하면서 공공언어 속으로 들어오는 전문용어도 나날이 늘어난다.

공공언어의 생산자는 행정가, 학자, 기술자, 기업, 언론인, 시민운동가 등 다양할 수 있지만, 대체로 공무원들이 용어에 공식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맡는다. 정부 정책을 세우면서 어떤 용어를 사용하는가는 전적으로 공무원들 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렇게 뽑힌 용어는 언론으로 유통됨으로써 대중적 인지도가 올라간다. 그러므로 용어를 선택하고 사용하는 주체인 공무원들과 언론인의 책임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이 사실상 공공언어의 생산자인 셈이다. 비록 해당 용어의 첫 사용자가 담당 공무원은 아니었을지라도 정책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전국적으로, 전 세대에 걸쳐, 반복적으로 알려지기 때문에 그런 지위가 부여되는 것이다.